주 의 - 이글은 리눅스(linux)를 처음 접한분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작성한글이랍니다.


 (linux)?

리눅스란 포괄적 의미로는 커널을 가리키지만, 운영체제 그 자체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커널이란 운영체제의 심장과 같은 부분으로써 학교에서 배운 대부분 운영체제의 

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리눅스는 "리누스 토발즈" 라는 헬싱키 대학의 

대학원생분께서 만드셨으며, 본래 교육용 유닉스인 "미닉스"를 쓰다가 기능에 

만족하지 못하고, 개조는 할 수 없기에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유닉스와 닮은 면이 많습니다. 지금까지의 리눅스는 GNU 프로젝트의 공이 큽니다.


GNU(GNU's Not Unix)프로젝트란 "리차드 스톨만" 이 세운 것으로 

"누구나 소프트웨어를 실행, 수정, 복사, 배포할 수 있다"는 사용권 

아래 배포하는 프로그램들을 뜻합니다. 카피 레프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닉스의 소프트웨어는 상용화되어 리차드 스톨만은 그것이 소프트웨어에 

발전속도를 더디게 만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리차드 스톨만은 동료와 

함께 GNU를 만듭니다. 이렇게 되어 리눅스와 리눅스의 거의 모든 

소프트웨어는 무료입니다.


리눅스의 특징 / 배포판

리눅스는 윈도우와 달리 무료이며 프로그램도 거의 무료입니다. 소스코드도 

공개되어 자신이 직접 소스코드를 변경해 나만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뛰어난 보안성,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서버로도 많이 쓰입니다.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전 세계 누구나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발전된 모습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네트워크 시스템도 가지고 있지요. 리눅스라고 

까만 화면에 키보드만으로 사용하는 그런 것을 연상하시는 분이 있는데 

대부분의 리눅스는 X-window를 지원하여 윈도우처럼 사용하기 편합니다.



리눅스의 단점은 일단 ActiveX3를 사용하는 웹페이지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애초에 이건 IE의 독점이기도 하였으니까요. 그리고 대부분 

게임은 원활하게 즐길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거의 윈도우의 독점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라 대부분에 게임이 윈도우 기준으로 나오고, 윈도우만 사용 

가능한 DirectX를 사용해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DirectX가 OpenGL보단 성능이 좋긴 하다네요.) 하지만 마인크래프트 

등의 게임은 OpenGL을 사용해 리눅스로 나오기도 합니다. 

그리고 또 윈도우보다 프로그램이 조금 부족하기도 한 감이 있지만 

대부분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으니 괜찮습니다. 윈도우 프로그램, 

게임도 Wine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구동할 수 있지만, 성능이 좋지는 않습니다.


리눅스는 커널이므로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고 GNU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운영체제들을 "리눅스 배포판"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배포판을 기준으로 

또 배포판(?)으로 나오기도 합니다. 약 200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유명한건 CentOS, 데비안, 페도라, 레드햇, 젠투, 우분투

오픈 수세 등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 글은 리눅스 처음 접한분들이 유닉스 기본적인

   개념을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작성한 글이라는 점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18 Ubuntu,eOS 성능최적화 4탄 Profile Sync Daemon 3 file tondekeman 3031 2013.11.09
117 Ubuntu,eOS 성능최적화 3탄 시작프로그램 2 file tondekeman 3446 2013.11.07
116 Ubuntu,eOS Everpad (Evernote Client) file tondekeman 2588 2013.11.07
115 Ubuntu,eOS My-Weather-Indicator 2 file tondekeman 2246 2013.11.07
114 Ubuntu,eOS Google Calendar indicator 4 file tondekeman 3168 2013.11.07
113 설치용 멀티부팅 USB 만들기 6 file 마니또우 8488 2013.11.07
112 바로가기 악성바이러스 치료 7 file 마니또우 6214 2013.11.06
111 Ubuntu 에서 SSH Key를 한방에 생성하기. 1 거지왕초 2389 2013.11.05
110 리눅스에서 프로세스 종료하기 2 컴퓨터매니아 8458 2013.11.05
109 우분투에서 한컴오피스2014 사용하기 12 file 언제나당당 13898 2013.11.05
108 리눅스의 init과 RunLevel 3 컴퓨터매니아 7945 2013.11.04
107 [Apache 웹서버] 3. MySQL, XE 설치하기 5 file 컴퓨터매니아 9323 2013.11.03
106 우분투에서 HWP 파일 연결시키는 방법. 1 file eentire 7356 2013.11.03
105 Ubuntu apt-get 명령어 사용법 2 Mint™ 2990 2013.11.02
104 우분투 성능 최적화!! 속도업!! 6 tondekeman 17944 2013.11.02
103 우분투 날씨 표시기 (weather-indicator) 설치 file tondekeman 3236 2013.11.01
102 우분투 guest 계정 끄기 1 tondekeman 4558 2013.11.01
101 LibreOffice 시작속도 높이기 (Quickstarter) 1 file tondekeman 3364 2013.11.01
100 주분투 13.10에서 한글설치 4 마니또우 3809 2013.10.31
99 ssh 설치하기및 포트 변경 방법 8 미디안 8985 2013.10.30

 빠른 글쓰기




   Copyright 2013-2023 LinuxForum